모바일 메뉴 닫기
 

지역 역사교육의 장

한림대학교 박물관

  • home
  • 전시/소장품
  • 상설전시
  • 고고역사실_조선

고고역사실_조선

발굴에서 전시까지, 역사와 더 친근하게 

우리 박물관이 실시한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과 소장 유물이 시대순으로 전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영월 등지에서 출토된 구석기와 춘천과 횡성 등에서 출토된 청동기와 철기시대 토기와 석기가 있으며, 양주 대모산성과 원주 거돈사지 출토 유물이 전시되었습니다.

그리고 원주 행구동 유적 자기류와 강화 외규장각지의 기와류, 자기류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상평통보 常平通寶

  • 조회수 220
  • 작성자 박물관
  • 작성일 23.02.03




상평통보 


조선지름 3.0cm


강화 조선궁전지에서 출토된 상평통보이다.모양은 기본적으로 외형이 납작하고 둥근 가운데 네모난 구멍이 있으며앞면에는 상평통보(常平通寶)’라고 글자가 쓰여져 있다상평(常平)은 상시평준(常時平準)’의 준말인데 유통가치에 항상 등가(等價)를 유지하려는 의도와 노력을 그대로 반영한 표시였다.

 조선 전기까지는 일반적인 교환수단으로 곡물이나 직물을 사용하였다벼와 같은 곡물은 작황에 따라 가치 변동이 크며 운반성이나 저장성이 떨어져 점차 삼베무명모시명주 등의 직물이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다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상업 발달과 더불어 중앙 집권적 관료체계에 필요한 재정자금을 모으기 위해 화폐를 발행되기 시작하였다이러한 시기에 상평통보는 1678(숙종 4)에 발행되어 조선 말기까지 통용되었으며고종 때 근대화폐가 발간되기 전까지 200여 년간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상평통보는 종류·모양 및 개수글자의 서체 및 크기테두리의 크기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제조연도 순으로 분류하면 무배자전 및 단자전당이전천자문전당일전당백전당오전 등으로 구분된다이 상평통보는 조선시대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구제하기 위한 관아인 진휼청에서 1679년 발행된 당이전(當二錢)이다